동물

[반려동물]강아지 예방 접종의 모든 것!

또리줌마 2023. 6. 11. 23:01
728x90
반응형

요즘 주변에 강아지 키우는 가정이 정말 많은데, 삼성 monimo 앱에서 강아지 예방접종에 대해 정리가 잘 되어있어  내용 공유 합니다.

예방 접종은 강아지에게 건강상의 문제가 없고, 컨디션이 양호한 날 해야 해요. 접종 가능 여부는 수의사 선생님이 진료 시 보호자에게 자세한 문진을 하면서 강아지의 상태를 살펴보고 결정할 거예요.

예방 접종 자세히 알아보기!


① 예방 접종 시기

예방 접종은 일반적으로 2개월령 정도에 시작해요. 이 시기는 모유로부터 얻은 항체가 효력을 잃기 시작할 때로, 예방 접종을 통해 항체를 만들어 줘야 하기 때문이에요. 2개월령이 지났다고 예방 접종이 불가능한 건 아니에요. 예방 접종은 강아지가 2개월령 이상이고 컨디션이 양호하다면 연령에 관계없이 할 수 있어요.

② 예방 접종 횟수와 일정

예방 접종은 보통 2주 간격을 두고 종합(홍역/전염성 간염/파보/파라인플루엔자(렙토스피라)) 접종 5회, 코로나 장염 접종 2회, 켄넬코프 접종 2회, 인플루엔자 접종 2회, 광견병 접종 1회를 해요.
접종 간격이 너무 짧으면 항체 생성에 방해가 되고, 너무 길면 항체 생성이 미진할 수 있으므로, 동물병원의 접종 일정에 따라 주세요. 예방 접종이 완료된 후에는 항체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하는 항체가 검사를 해요. 검사 결과 수치가 미달되었다면 미달된 정도에 따라 추가 접종을 해야 해요.


③ 보강 접종

첫 접종 일정을 모두 끝내고서 항체가 검사를 통해 항체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했다면 다음 해부터 매년 종류별로 1회씩 보강 접종이 필요해요. 항체는 시간이 흐르면 자연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, 매년 보강 접종을 하여 항체가 전염병에 저항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 주세요.

④ 접종 과민반응

모든 접종 이후에는 과민반응이 일어나는지 관찰해야 해요. 과민반응이 일어난 경우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예방 접종을 너무 늦은 시간에 맞추는 걸 추천하지는 않아요. 접종 스트레스에 피로를 더하지 않도록 접종 당일에는 목욕과 무리한 운동은 피하고 혼자서 조용히 쉴 수 있도록 해 주세요.

예방 접종 후 '이런 증상'을 보일 수 있어요!


① 주사 부위의 이상 증상

주사 부위에 통증, 종창, 불편감이 있을 수 있어요. 대부분 2~4주 안에 자연스럽게 좋아지지만 길게는 6주 이상 지속되기도 해요.

② 접종 과민반응

입술과 눈꺼풀이 퉁퉁 붓거나 전신 두드러기, 저혈압, 쇼크(쓰러짐)가 나타날 수 있어요. 과민반응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므로, 최대한 빨리 동물병원에 내원해 치료를 받아야 해요. 이 때문에 예방 접종을 한 날에는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강아지를 유심히 지켜봐야 해요.

③ 일시적인 구토 및 설사, 발열, 기력 저하

예방 접종 후 일시적으로 구토, 설사를 하거나 발열, 기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, 대부분 치료 없이도 수 일 내에 상태가 좋아지지만 드물게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.

[출처]삼성 monimo